'[ 환경,수질,대기,폐기물 ]'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 환경,수질,대기,폐기물 ]

반응형
물환경보전법 배출허용기준 폐수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의 항목별 배출허용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물환경보전법」 제32조제1항,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34조 및 별표13제2호).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화학적 산소요구량·부유물질량(「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34조 및 별표13 제2호가목) 대상규모 항목지역구분1일 폐수배출량 2천 세제곱미터 이상1일 폐수배출량 2천 세제곱미터 미만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L)화학적산소요구량(㎎/L)부유물질량(㎎/L)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L)화학적산소요구량(㎎/L)부유물질량(㎎/L)청정지역30 이하40 이하30 이하40 이하50 이하40 이하가지역60 이하70 이하60 이하80 이하90 이하80 이하나지역80 이하90 이하80 이하120 이하130 이하120 이하특례지역30 이하40 이하3.. 2020. 8. 3.
부영양화 부영양화 eutrophication, 富榮養化 일반적으로 호소나 하천이 처음 생길 때는 영양물질이 충분하지 못해 빈영양호가 되지만, 각종 오염물질이 수역으로 유입되어 질소와 인 등 영양염류가 풍부해져 영양상태가 빈영양에서 부영양으로 바뀌어간다. 물속의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질소와 인이 제한요소가 되는데, 질소와 인이 부족한 빈영양호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이 자라기 어렵다. 그러나 부영양호에서는 질소와 인이 풍부하기에 식물플랑크톤이 과다 증식하게 되어 해수의 경우 붉은색으로 바닷물이 변하게 되고, 하천의 경우에는 녹색으로 바닷물이 변하게 된다. 부영양호에서 식물플랑크톤이 과다증식하게 되면 유기물 부하의 증가, DO저하, 저질 내의 철과 망간의 용출, 맛과 냄새, THM 전구물질을 생성하여 정수장에서 장애를 유발.. 2020. 8. 3.
소포제 defoaming agent #소포제삭제#소포제란삭제#소포제사용법삭제#탈포제의배향  소포제 defoaming agent , 消泡劑화학 공장이나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 및 폐수는 계면활성제 및 중성세제가 함유되어 물 표면에 많은 거품이 생기게 된다. 거품들은 물속으로 침투되는 태양 빛의 투과를 저지하고, 대기에 존재하는 산소가 수중으로 용해되는 것을 방해하여 수중의 산소의 공급을 방해한다. 이에 따라 물은 자정작용 능력을 잃게 되고 오염된다. 이러한 거품을 없애는 화학약품을 소포제라고 한다. 거품의 제거 방법으로는 활성탄에 흡착이나 소포제를 첨가 등의 방법이 있다. 소포제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소량만으로도 기포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소포작용에는 거품을 깨는 작용과 거품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품.. 2020. 8. 3.
pH 수소 이온 농도 지수 #ph수소이온농도삭제#ph수소이온농도지수 농경학·화학·생물학 등에 널리 사용되는 이 용어는 1ℓ당 약 1~10-14g당량의 수소 이온 농도값을 0~14의 숫자로 전환하여 나타낸다. 중성인 순수한 물에서 수소 이온의 농도는 1ℓ당 10-7그램당량이고 이것은 pH 7에 해당한다. pH 7 이하의 용액은 산성, pH 7 이상인 용액은 염기성 또는 알칼리성이라고 한다. 덴마크의 생화학자 S. P. L.?쇠렌센이 처음으로 수용액에서 ℓ당 당량 단위의 수소 이온 농도를 나타내기 위해 pH를 측정했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pH=-log[H+](이 식에서 [H+]는 꺾쇠 괄호 안의 화학종 A의 농도를 나타냄)이다. 수소 이온 농도의 물리적 의미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pH의 정의는 측정 방법에 따라 다르.. 2020. 8. 3.